728x90
정부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도약계좌를 오는 6월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 계좌는 청년들이 5년간 매월 40만 원에서 7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2만 4,000원의 기여금을 추가로 지원하여 총 5,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가입 대상 및 조건
- 연령: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 개인 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병역 이행자: 병역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제외
정부 기여금 지원 방식
정부 기여금은 개인 소득 수준과 본인 납입액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높은 매칭 비율이 적용되며, 예를 들어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월 40만 원을 저축하면 6%의 매칭 비율로 월 2만 4,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연 소득 7,500만 원인 경우 정부 기여금은 없지만,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리 및 우대 혜택
- 금리 적용: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
- 우대 금리: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추가 우대금리 제공 예정
특별 중도 해지 사유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장기 치료 질병,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의 사유에 해당하면 중도 해지 시에도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유지됩니다.
가입 및 운영 방식
- 가입 신청: 취급 기관의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매월 신청 가능
- 소득 심사: 개인 소득과 가구 소득을 함께 심사하여 자격 여부 판단
- 소득 기준 갱신: 가입일로부터 매년 개인 소득을 갱신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 및 규모 조정
연계 지원 및 추가 혜택
- 복지 상품 및 고용 지원 상품: 저소득층 청년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상품과 동시 가입 허용
-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로의 순차 가입 허용
- 예적금 담보 대출: 긴급 자금 수요 시 만기 유지 지원을 위한 담보 대출 방안 협의 중
- 만기 후 지원: 우대 금리 제공, 신용 평가 가점 반영, 금융 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등 지속적인 자산 형성 지원 계획
금융위원회는 청년도약계좌의 취급 기관 모집 및 협의를 거쳐 상세한 사항을 안내할 예정이며,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728x90
반응형
'정책매거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읍 민생회복지원금 (1) | 2025.01.17 |
---|---|
양평 백동저수지 빙어축제 2025 총정리 (0) | 2025.01.16 |
알뜰폰 1만원대 5G 20GB 요금제 출시 예정 (0) | 2025.01.16 |
2025년 아이돌봄서비스 바뀌는 정책 총정리 (0) | 2025.01.15 |
양주 눈꽃축제 눈썰장 정보 (2025년 ver) (1) | 2025.01.14 |